본문 바로가기
✍️ 영어

영어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영문법 Best 10(+ 8품사 vs. 5형식, 부사 vs. 형용사 차이점 알아 보기)

by smileLee 2025. 3. 9.
728x90

영문법에 대한 정리

 

영어 공부하면서 많이 궁금해하고 어려워하는 영어 문법 Best 10 무엇일까요? 시제에 대한 어려움? 또한 자주 묻는 질문 중에 보어와 형용사의 차이에 대한 혼란도 많이 발생합니다. 영어 문법에서 보어와 형용사는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용법과 위치, 기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 목차

 

 

📝 영어 공부하면서 어려워하는 문법 영역 Best 10

1. 동사의 시제와 활용법

  • 특히 현재 시제, 과거 시제, 미래 시제 사용에서 많은 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부정사와 동명사의 차이

  • to+동사와 동사+ing 형태를 언제 써야 하는지에 대한 혼동.

3. 주어와 동사의 일치

  • 단수, 복수 주어에 따라 동사 형태를 맞추는 규칙.

4. 전치사의 사용법

  • in, on, at 등 전치사의 적절한 사용.

5. 조건문

  • 가정법이나 조건문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어려움.

6. 관계대명사

  • who, which, that 등 관계대명사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7. 부사와 형용사의 구별

  • 부사와 형용사의 차이를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법.

8. 보어와 형용사의 차이

  • 보어는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는 역할을 하고, 형용사는 명사나 대명사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거나 수식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구분이 필요합니다. 이 두 가지가 혼동되는 경우.

9. 대명사의 사용법

  • I, you, he, she, it 등의 주격과 me, him, her 등의 목적격 대명사를 정확히 구별하는 문제.

10. 시제와 부사 사용의 혼동

  • 시제를 나타내는 부사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 예를 들어 yet, already, still 등의 사용법.

 


위의 8번 부사와 형용사의 구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법의 기본 개념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영어 문법을 공부하다 보면 8 품사와 5 형식이라는 개념이 자주 등장합니다. 가장 기본 개념이지만, 이 두 가지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8 품사는 단어의 종류를 구분하는 기준, 5 형식은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는 기준입니다.

두 개념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 8 품사와 5 형식의 차이와 매핑

 

8 품사: 단어의 종류를 나누는 기준
5 형식: 문장의 구조를 나누는 기준

1. 8 품사 (Parts of Speech) – 단어의 종류

영어에서 모든 단어는 8가지 품사 중 하나에 속합니다.

 

  1. 명사 (noun) – 사람, 사물, 장소 (dog, table, school)
  2. 대명사 (pronoun) – 명사를 대신함 (he, she, it)
  3. 동사 (verb) –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냄 (run, eat, is)
  4. 형용사 (adjective) – 명사를 꾸밈 (beautiful, small)
  5. 부사 (adverb) – 동사, 형용사, 문장을 꾸밈 (quickly, very)
  6. 전치사 (preposition) – 위치, 방향, 시간을 나타냄 (in, on, at)
  7. 접속사 (conjunction) – 단어, 구, 문장을 연결 (and, but, because)
  8. 감탄사 (interjection) – 감정을 나타냄 (Oh!, Wow!)

📌 품사는 단어 하나하나의 성질을 구분하는 기준!

 

사전에 단어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이 어떤 품사로 쓰이는 단어인지 구분이 설명되어 있을 겁니다.

그리고 영어의 단어를 무한히 만들지 않고 한 단어를 명사로도 쓰고 동사로도 쓰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subject 단어는 '과목' 뜻으로 많이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단어를 찾아보면 명사, 형용사, 동사로 쓰이고 있습니다.

수능에서 동사로 쓰이게 나와서 많은 학생들이 당황해했던 단어입니다.

 

사전에 있는 동사로 쓰인 예문입니다.

The Roman Empire subjected most of Europe to its rule. 
로마 제국은 대부분의 유럽 국가를 자기 지배하에 두었다.

728x90

2. 5 형식 (5 Sentence Structures) – 문장의 구조

영어 문장은

주어(S)와 동사(V)를 중심으로 5가지 형태로 나뉩니다.

  1. 1 형식: 주어 + 동사 S + V (Birds fly.)
  2. 2 형식: 주어 + 동사 + 보어 S + V + C (She is happy.)
  3. 3 형식: 주어+ 동사 + 목적어 S + V + O (He eats an apple.)
  4. 4 형식: 주어+ 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 S + V + IO + DO (She gave me a gift.)
  5. 5 형식: 주어+ 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 S + V + O + OC (They made me happy.)

제가 5형식을 아들에게 설명할 때는 아래와 같은 도식으로 설명했었습니다.

혹시 쉽게 정리하고자 하는 분을 위해 공유 차원에서 적어 봅니다.

형식 기본구조
대표 동사
1형식 ○ ★ 주어 + 동사 주어, 동사만으로 설명 가능(자동사) go, come, sleep, run, work, stand, happen, arrive, rise
2형식 ○ ★ ◎ 주어 + 동사 + 보어  be동사
상태/변화 동사
즉, 주어에 대한 설명
be, become, seem, look, feel, sound, taste, smell, remain, grow
3형식 ○ ★ □ 주어 + 동사 + 목적어 타동사(목적어 필요)
동사만으로 설명이 안 끝남. 뒤에 무엇을? 필요
like, love, hate, want, have, buy, make, know, give, take
4형식 ○ ★ □  주어 + 동사 + 간적목적어 + 직접 목적어 누구(  )에게 무엇을( ) give, send, show, teach, tell, buy, offer, bring
5형식 ○ ★ □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 목적어 보충하는 보어 필요 make, keep, find, consider, call, name, elect, let, see, hear

○ : 주어

★ : 동사

◎ :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니 동그라미 두 개 겹친 것

□ : 목적어(목적어의 'ㅁ'과 모양이 같은 네모. 직접 목적어에도 쓰임)

△ : 간접목적어

: 목적격보어(목적어에 대한 상태 설명이니까 네모 두 개 겹친 것)

 

📌 5형식은 문장을 구성하는 방식(구조)을 구분하는 기준! 을 말합니다.

 

1형식 문장 : She runs every morning.

2형식 문장 : She is a doctor.

3형식 문장 : I like apples.

4형식 문장 : He gave me a gift.

5형식 문장 : They made me happy.

 

🔹 8품사 vs. 5 형식 차이점 정리

  • 8 품사는 각 단어의 역할을 구분하는 기준.
  • 5 형식은 문장이 어떤 구조로 이루어지는지를 구분하는 기준.

3. 5 형식 문장의 성분에 올 수 있는 품사 (5 형식 : 8 품사 매핑)

 

문장 성분 올 수 있는 품사 예문
주어 (S) 명사, 대명사, 동명사, 명사구·절 Dogs bark. (명사)
She runs. (대명사)
Swimming is fun. (동명사)
동사 (V) 동사 She sings.
They are happy.
보어 (C) 명사, 형용사 He is a teacher. (명사)
She is kind. (형용사)
목적어 (O) 명사, 대명사, 동명사, 명사구·절 I like pizza. (명사)
She loves him. (대명사)
They enjoy reading. (동명사)
간접 목적어(IO) 명사, 대명사 We told them it. (대명사)
He told John a secret. (명사)
직접 목적어(DO) 명사, 대명사, 동명사, 명사구·절 We told them it. (대명사)
He told John a secret. (명사)
목적격 보어 (OC) 명사, 형용사, 부정사, 분사 They made him a leader. (명사)
I found the room clean. (형용사)
She asked me to help. (부정사)
I saw her running. (현재분사)

 

문장의 표를 보면 8품사 이외에 구, 절, 동명사, 부정사, 분사 등이 올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 8품사만으로 모든 문장을 설명하기 어려운 이유?

→ 영어에는 더 세부적인 역할을 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구(Phrase)와 절(Clause)은 8 품사에도 5 형식에도 속하지 않지만, 문장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1. 구(Phrase)와 절(Clause)

8품사와의 관계

  • 8 품사는 단어의 역할을 나타냄 (명사, 동사, 형용사 등)
  • 하지만 구와 절은 단어가 모여 문장에서 특정한 역할을 하는 단위
  • 즉, 구와 절은 8 품사 위의 개념, 여러 개의 품사가 모여 특정 기능을 하는 묶음

5형식과의 관계

  • 5 형식은 문장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
  • 즉, 5형식은 문장을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설명하는 것이고,
  • 구와 절은 그 문장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됨

💡 쉽게 설명하면?

  • 8 품사 = 문장의 재료(단어)
  • 구와 절 = 여러 단어가 모여 특정 역할을 하는 단위
  • 5 형식 = 문장의 뼈대(구조)

📌  구(Phrase)와 절(Clause)의 차이

구 (Phrase) 절 (Clause)
주어+동사가 없음 주어+동사가 있음
문장의 일부 역할을 함 (완전한 의미 없음) 독립적인 문장 가능 (완전한 절) or 문장의 일부 역할 (종속절)
예: a big house (큰 집) / in the morning (아침에) 예: She likes apples. (독립절) / because she was late (종속절)

 

🔹 간단한 예문

  • 구(Phrase): the beautiful garden (아름다운 정원) → 명사구 (주어 X, 동사 X)
  • 절(Clause): She loves the garden. (그녀는 그 정원을 사랑한다) → 주어(She) + 동사(loves) 있음

💡  구와 절은 어디에 속할까요?

구와 절 5형식 8품사 설명
구 (Phrase) 여러 단어가 모여 하나의 역할 (주어, 목적어 등)
절 (Clause) 주어 + 동사가 있는 단위, 독립절과 종속절로 나뉨

👉 구와 절은 8 품사도 아니고, 5 형식도 아니다.
하지만 8품사와 5 형식을 연결해 주는 개념, 말을 길게 서술할 수 있는 문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8품사 외에도 알아두면 좋은 문법 요소들

문법 요소 설명 예문
부정사
(to부정사, Infinitive)
‘to + 동사원형’ 형태로 동사처럼 쓰이지만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함
I want to eat. (나는 먹고 싶다.) → to eat = 목적어 역할(명사)
동명사 (Gerund) ‘동사+ing’ 형태로
명사처럼 쓰임
Swimming is fun. (Swimming = 주어 역할)
분사 (Participle) 현재분사(-ing)와 과거분사(-ed/-en) 형태로
형용사 역할을 함
The running boy is fast. (running = 형용사)
관사 (Article) 명사 앞에서 한정하는 역할
(a, an, the)
I saw a dog. (a = 하나의)
한정사 (Determiner) 명사의 수량이나 소유를 나타냄
(some, many, my, this)
My book is on the table. (My = 소유격)
조동사 (Auxiliary Verb) 본동사를 도와 의미를 더하는 동사
(can, will, must, should)
She can sing. (can = 능력)

 

 


3. 목적어 자리에 오는 품사가 간접/직접 목적어 자리에 올 수 있을까요?

   간접 목적어(IO)와 직접 목적어(DO)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간접 목적어(IO): 동작을 받는 사람 → 누구에게? (me, John)
  • 직접 목적어(DO): 동작의 대상 → 무엇을? (a book, a gift)
  • 간접 목적어(IO)와 직접 목적어(DO)의 품사 매핑은 목적어(O)와 동일하게 적용하면 됩니다. 다만, 간접 목적어(IO)는 보통 명사/대명사만 가능하며, 동명사나 명사절이 오는 경우는 드뭅니다.

 


📝 영어 배울 때 이해 안 되는 문법 Best 8:  보어와 형용사에 대한 정리

위의 5 형식과 8 품사를 알아본 것과 연관이 있어서

보어와 형용사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각 개념을 명확히 살펴보겠습니다.

1. 보어

보어는 문장 성분 중 하나로,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보어는 주격 보어와 목적격 보어로 나눠집니다.

  • 주격 보어 (2 형식에 쓰임)
    주어에 대해 설명하거나 보충하는 역할을 합니다. 보어가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냅니다.
    예: He is nice. (그는 나이스하다)
    • 여기서 nice는 주격 보어로, **He(주어)**를 보충 설명합니다.
  • 목적격 보어 (5 형식에 쓰임)
    목적어에 대해 설명하거나 보충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 They made her happy. (그들은 그녀를 행복하게 만들었다)
    • 여기서 happy는 목적격 보어로, her(목적어)를 보충 설명합니다.

보어는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2. 형용사

형용사는 8 품사 중 하나로, 명사나 대명사의 성질, 상태, 특징을 나타내거나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8 품사 구성

  • 명사
  • 대명사
  • 동사
  • 형용사
  • 부사
  • 접속사
  • 전치사
  • 감탄사

형용사는 다음 두 가지 용법으로 사용됩니다.

  •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한정적 용법):
    형용사는 명사 앞에 위치하여 명사의 특징이나 상태를 설명합니다.
    예: a big dog (큰 개), a red car (빨간 차)
  • 주어/목적어 보어로 쓰이는 형용사 (서술적 용법):
    동사 뒤에 위치하여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 She is beautiful. (그녀는 아름답다)
    예: They made him sad. (그들은 그를 슬프게 만들었다)

3. 보어와 형용사 차이 정리

보어는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는 역할을 하고,

형용사는 명사나 대명사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거나 명사를 수식하는 품사입니다.

 

보어는 2 형식과 5 형식 문장에서 각각 주격 보어와 목적격 보어로 사용됩니다.

형용사는 명사와 대명사를 수식하거나 주어/목적어 보어로 쓰이는 중요한 품사입니다.

이 두 개념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면 문장 구성에 있어 더 나은 이해가 가능합니다.

 

두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면 문법을 더 쉽게 익히고, 영어 문장을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영어 게시판에 한국 문화 관련 영어 회화를 게시하다가 보니

학생들이 공부하면서 영문법(어법)에 대해 많이들 어려워하고 있어서

올려 보려고 합니다.

 

 

기초 내역을 담다 보니 오늘 글이 좀 길었습니다...

앞으로도 하나씩 정리해서 올리려고 합니다.

영어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