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읽고쓰고말하기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끝까지 해내는 것이 더 중요하다: 성공하는 사람들의 마인드셋

by SmileLee 2025. 3. 23.
728x90

완벽 보다는 완성

 

완벽을 목표로 하다가 시작조차 하지 못하거나, 진행 속도가 느려지는 경험을 해본 적이 있나요? 많은 사람들이 ‘완벽해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오히려 목표를 달성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완벽보다는 완성을 우선시한다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완벽주의를 극복하고 끝까지 해내는 마인드를 기르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목차

클릭 시 바로 이동 가능

👉 완벽주의가 우리를 방해하는 이유

많은 사람들이 무언가를 시작할 때 ‘완벽하게 해야 한다’는 부담을 느낍니다. 하지만 완벽을 추구하다 보면 오히려 지쳐서 중간에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성공한 사람들은 완벽을 목표로 하기보다, 끝까지 해내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완벽주의가 주는 대표적인 문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작을 망설이게 만듦
  • 진행 속도가 느려짐
  • 끝내지 못하고 중도 포기
  • 다른 일에 까지 영향을 줌
  • 스트레스와 자기비판 증가

728x90


🖌️ 예술가들의 접근 방식에서 배우기(ft. 고1 영어 모의고사 지문)

다음은 [2024학년도 3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24번 지문과 해설입니다.

Working around the whole painting,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one area at a time, will mean you can stop at any point and the painting can be considered “finished.” Artists often find it difficult to know when to stop painting, and it can be tempting to keep on adding more to your work. It is important to take a few steps back from the painting from time to time to assess your progress. Putting too much into a painting can spoil its impact and leave it looking overworked.If you find yourself struggling to decide whether you have finished, take a break and come back to it later with fresh eyes. Then you can decide whether any areas of your painting would benefit from further refinement.
한 번에 한 영역에만 집중하기보다 전체 그림에 대해서 작업하는 것은 여러분이 어떤 지점에서도 멈출 수 있고 그림이 ‘완성’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화가인 여러분은 종종 언제 그림을 멈춰야 할지 알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고, 자신의 그림에 계속해서 더 추가하고 싶은 유혹을 느낄 수도 있다. 때때로 자신의 진행 상황을 평가하기 위해 그림에서 몇 걸음 뒤로 물러나는 것이 중요하다. 한 그림에 너무 많은 것을 넣으면 그것의 영향력을 망칠 수 있고 그것이 과하게 작업된 것처럼 보이게 둘 수 있다. 만약 여러분이 끝냈는지를 결정하는 데 자신이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게 된다면, 잠시 휴식을 취하고 나중에 새로운 눈으로 그것(그림)으로 다시 돌아와라. 그러면 여러분은 더 정교하게 꾸며서 자신의 그림 어느 부분이 득을 볼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저는 이 지문이 모의고사에 출제된 이유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고 공감 가는 글이 됐으면 하는 출제자의 바람도 있었을 거 같습니다.

 

내용을 통해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사실은 그림을 그리는 예술가들도 비슷한 고민을 한다는 겁니다.

한 부분에만 집중하다 보면 전체적인 균형을 잃고, 과하게 작업하면 그림이 오히려 무거워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화가들은 전체적으로 작업하면서 언제든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택합니다.

 

작업 도중 몇 걸음 물러나서 작품을 바라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목표를 달성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일이든 완벽을 기하기보다, 한 걸음 물러서서 완성을 바라보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만약 끝내야 할지 고민된다면, 잠시 쉬었다가 새로운 시각으로 다시 돌아와 보세요라는 메시지를 주고 있습니다.

 


💡 ‘완성이 더 중요하다’는 마인드를 가지는 법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마인드를 가질 수 있을까요?

1. 80% 법칙 적용하기

완벽함을 기다리기보다 80% 완성되면 끝낸다는 마음으로 진행하세요. 많은 기업가와 크리에이터들은 80% 수준에서 출시하고, 이후 피드백을 반영하며 개선해 나갑니다.

2. 작은 목표부터 시작하기

처음부터 큰 목표를 세우면 부담이 커집니다. 대신, 하루에 한 문장 쓰기, 10분 운동하기 같은 작은 목표부터 시작하면 꾸준히 완성하는 습관이 생깁니다.

3. 실패를 배우는 기회로 받아들이기

완벽하지 않더라도 완성하면 배울 기회가 생깁니다. 시행착오를 통해 더 나은 결과를 만들 수 있으며, 성공으로 가는 과정입니다.

4. ‘출시 후 개선’ 전략 활용하기

완벽한 결과물을 만들려다 보면 영원히 시작할 수 없습니다. 일단 공개하고, 피드백을 통해 수정하는 전략이 오히려 더 효과적입니다.

 


📌 언제 완벽이 필요할까요?

완성을 목표로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특정한 상황에서는 완벽함이 필수적입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높은 정확성과 정밀함이 요구됩니다:

  • 의료 및 수술 분야: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수술이나 치료 과정에서는 작은 실수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항공 및 엔지니어링: 비행기 제작이나 건물 설계에서는 작은 오류도 치명적인 사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법률 문서 및 계약서 작성: 법적 문서는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완벽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 금융 및 회계: 숫자의 작은 차이도 큰 재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계산이 중요합니다.
  • 연구 및 실험: 과학적 연구에서는 실험 데이터의 신뢰성과 정밀성이 중요합니다.

이처럼 완벽이 필요한 분야와 그렇지 않은 분야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상적인 목표에서는 ‘완성’을 우선시하고, 중요한 분야에서는 철저한 검토를 거치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합니다.


✨ 냉정하고 차분한 태도를 기르기 위한 연습

어떤 과제나 일을 할 때 완벽하게 하려다 보니 다른 일에 까지 지장을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마음이 급해지고 예민하게 변하게 됩니다. 이럴 때 어떻게 해야 될지 알아보겠습니다. 위에서 살펴본 지문의 글처럼 '완성'에 중점을 맞추기 위한 연습 방법을 소개합니다.

1.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연습

  • 감정이 앞서기 전에 "지금 해결할 수 있는가?"라고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 문제를 단계별로 나누고,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하는 연습을 하세요.

2. 시간을 두고 반응하기

  • 급한 결정을 내리기 전, 5~10초 동안 심호흡하세요.
  • 감정이 올라올 때 바로 말하거나 행동하지 말고, 머릿속으로 한 번 정리한 후 반응하세요.

3. 패턴이 흐트러져도 다시 조정하는 법 배우기

  • 하나의 일이 실패해도 전체 계획이 흔들리지 않도록, 대체 계획을 미리 세워보세요.
  • 완벽하게 하려 하지 말고, "다음에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라고 생각해 보세요.

4. 명상과 기록 습관

  • 하루 5분이라도 명상을 하면서 마음을 가라앉히는 연습을 해보세요.
  • 감정이 흔들릴 때마다 일기를 쓰거나 메모를 남겨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세요.

작은 습관부터 하나씩 바꿔가면 차분하고 침착한 태도를 기를 수 있습니다. 

여러 일을 처리하더라도 혹은 지금의 일을 끝내기를 할 때도 마음이 무겁지 않게 상황과 일을 객관적으로 보는 힘이 길러지게 될 겁니다.


📖 학생들을 위한 팁: 완성하는 습관 기르기

학생들은 공부나 과제에서 완벽함을 추구하다가 오히려 마감일을 놓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 팁을 활용해 보세요.

  • 초안부터 작성하기: 완벽한 글을 쓰려고 고민하기보다, 우선 초안을 작성하세요. 수정은 나중에 하면 됩니다.
  • 시간제한 두기: 너무 오래 고민하지 않도록, 타이머를 설정하고 주어진 시간 내에 최대한 작성하세요.
  • 완성 후 피드백받기: 친구나 선생님께 피드백을 받아 조금씩 개선해 나가세요.
  • 작은 목표부터 달성하기: 하루에 단어 5개 외우기, 20분 독서하기 등 작게 시작해서 꾸준히 이어가세요.

 

 


✅ 실천할 수 있는 간단한 도전 과제

이 글을 읽고 나서 바로 실천할 수 있는 도전 과제를 소개합니다.

  1. 하고 싶었지만 미뤄둔 일이 있다면, 오늘 10분만 투자해서 시작해 보세요.
  2. 결과가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스스로에게 말해보세요.
  3. 완성한 것들을 기록하면서 스스로의 성취감을 높이세요.

행동하는 사람이 성공한다

완벽함보다 중요한 것은 꾸준히 완성하는 것입니다.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는 마음가짐이 있다면, 더 많은 기회를 만들고 더 큰 성취를 이룰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완벽이 아닌 완성을 목표로 도전해 보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